문화예술소식

조샘 현대미술작가 (방문미술 그림샘 & 월간미술인 청년작가추천)

조아진 2010. 4. 27. 20:11

방문미술 그림샘 & 월간미술인 청년작가추천

현대미술작가 조샘 (Sam, CHO)

contemporary visual artists / 現代美術作家

 

글 : 조아진 (방문미술 그림샘 대표, 월간미술인 객원기자)

 

 

샘의 탄생

 2010_미술과 비평에서 출간예정중인 조샘 작품집 표지이미지

  

 

아는 사람

 문득 깨닫는다. 예술을 위한 예술 그리고 대화를 위한 대화. 인터뷰라는 껍데기는 작가라는 캐릭터를 해체하고 내 나름대로 재해석하여 그의 삶과 작품세계의 연결고리를 쫓아 특.정. 이야기를 유도해 낸다. 자칫하다간 실제가 아닌 가상의 캐릭터가 되고 만다. 고정관념에 선입견이라는 양념이 더해져 전혀 다른 요리를 만들어 내고 만다. 그나마 최소한의 진실을 알아채기 위해 노력이라는 것을 하기는 한다. 그러나 일전의 순수와 대면했을 때처럼 너무나 친숙한 캐릭터 앞에서는 모든 것이 무의미해진다. 알면서도 모르는 관계 그것이 바로 그와 나의 관계. 아는 사람이다.

 

 

 2010_미술과 비평에서 출간예정중인 조샘 작품집

"그는 괜찮은 애야. 하지만 헤비메탈 음악을 들어"

  

 

포장을 벗고

인터뷰를 위해 요청한 자료를 보며 먼저 눈에 박힌 것은 자유로운 영혼과 더부살이를 하고 있던 포장지였다. 난 아주 그럴듯하고 논리적이며 동시에 감성을 자극하는, 게다가 철학적이기까지 한! 자기포장을 무척이나 좋아하고 존중한다. 그러나 동시에 아무렇게도 포장되지 않은 아니 못한. 날것의 원초적 감각을 더욱 경애한다. 그는 꽤나 늦은 나이에 모든 것을 버려두고 미국으로의 유학길을 택했다. 미술대학에서 겸임교수직을 맡고도 있었고 젊은 작가들 축에서 나름대로 인지도도 갖고 있는 작가였다. 하지만 사회적 지위가 높아져 갈수록 가슴은 먹먹해져만 갔다. 고급스럽게 포장되어 있지만 정작 도통 그 안에 무엇이 들었는지 알 수 없는 막연한 선물처럼. 가장 가까이에서 나를 포장해주던 모든 것들이 그가 추구하고자 하는 작품에 대한 본질을 두텁게 감싸고 있었다. 그는 황홀하게 반짝이던 포장지를 벗어던지고 날것 그대로의 원초적 감각을 쫓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말이 좋아 유학이지 그저 새로운 공부를 위해 더 큰 물에 발을 담근 정도였다. 4년 동안의 미국에서의 시간동안 그는 생각이상으로 많은 것을 잃게 된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2010_미술과 비평에서 출간예정중인 조샘 작품집

"초능력을 가진 ET는 지구에 홀로 남아 지구 소년과 함께 위기를 극복한다"

  

 

웃는 얼굴

 모든 것을 다시 시작해야 했다. 먹고 입고 자는 것에 대한 원초적 고난의 연속이다. 변변한 작업실도 없이 그림을 그리면서도 종종 카메라를 들고서 뉴욕의 풍경을 담기 시작했다. 그리고 우연과 필연처럼 새로운 작업스타일에 대한 영감이 찾아왔다. 우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사물 속에 이미 존재해 왔던 얼굴의 이미지가 그를 맞이한다. 웃기도하고 울기도하는 것이 영락없는 사람의 얼굴이다. 애써 보려고 해도 볼 수 없는 것들, 보려고 애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시야에 들어오는 것들. 운명이란 것은 그렇게 찾아오기 마련이다. 얻은 것보다 잃은 것이 더 많았던 미국생활에서 작가 정체성을 찾고 인간 조석진으로써 새로운 인생관을 정립하게 되는 순간이었다. 그렇게 현대미술작가 조샘(Sam, CHO)은 탄생하게 된다. 뉴욕에서의 수차례의 그룹전시와 오픈스튜디오를 통해서 조심스레 사람들의 반응을 살펴본다. 꽤나 성공적인 반응이다. 사람들은 그의 작품을 통해서 재치를 발견한다. 그리고 웃는다. 작품 고유의 창조성이 의외성을 만나 대중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시각적 매체를 활용한 창조적 재생산을 통하여 소통하거나 혹은 주장만을 하거나 대개의 예술 결과물은 이 두 가지 반응을 낳게 마련이다. 그의 전시를 찾은 노부부가 작품을 보며 내내 즐거워하며 웃음으로 화답했다는 사실은 그가 작가노트에서 언급한 모든 사람들과의 공유라는 바람에 어느 정도 근접한 결과가 아닐까. 단 몇 줄의 글로 수긍할 수 없다면 전시회를 직접 찾아 확인해 보거나 그가 그간의 작품을 모아 미술과 비평사에서 출간하기로 한 작품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작품집에서 작품제목과 설명을 함께 보면 그 작품의 진정한 재미와 위트를 두 배로 만끽할 수 있다.

 

 

Sam Cho_Face01_외계인_60cm x 60cm_C Print

  

 

김 포 선생님

 뉴욕에 머무는 동안 그는 94세의 김 포 선생님을 보며 많은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1년여의 시간동안 그분 작품의 반세기 동안의 흔적들을 사진에 담고 있다. 특히 60년대 말부터 하루에 10시간씩 근 7년이라는 시간과 공을 들여 완성된 색연필 드로잉은 그에게 작가적 고집과 열정이 무엇이다라고 정의를 내려주는 것 같은 느낌이 아니었을까하고 조심스레 추측해 본다. 태어나고 자라난 나라. 그 곳에서 어느 정도 입지를 굳혀갈 무렵 그가 선택한 길은 한국이라는 나라에서의 사회적 성공도, 겉으로 보기에 번지르르한 미국 유학이라는 포장길도 아니었다. 작가적 영혼의 양심을 배신할 수 없었던 순수한 열정이며 도전과 모색 그 자체였다. 그에게는 삶과 예술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같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꿈꾸는 바로 지금이다. 주위의 모든 것이 그의 시선을 통해, 카메라를 통해 그리고 그래픽 프로그램을 통해 예술로 재현되고 있다. 그가 얻은 깨달음처럼 삶은 곧 예술인 것이다.

 

 

 Sam Cho_Face02_시골뜨기_60cm x 60cm_C Print

 

 

sam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도전한다는 것은 항상 희생이 뒤따르는 법이다. 대개의 예술을 업으로 택한 사람들이 그러하듯 아버지로써 그리고 집안의 가장으로써 그는 항상 가족에게 미안하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가족의 소중함을 더 절실히 깨달을 수 있었던 기회이기도 했다. 그래서 정한 영문이름. 조 샘(sam, Cho/ 본명 조석진). 늘 샘솟는 기분으로 아내와 아들을 사랑하겠다는 스스로에 대한 다짐이다. 아는 사람인 그가 샘을 택했듯. 나또한 나의 샘을 더 사랑해야겠다는 각오를 새롭게 다져본다.  

 

 

Sam Cho_Face03_산업연구생_60cm x 60cm_C Print

 

 

현대미술가 조샘 (조석진) 개인전 일정

1차 : 2010년 3월 31일(Wed) - 4월 6일(Tue)

인사동 - 통큰 갤러리 02)730-2430, www.africarho.co.kr

전시 오프닝 및 조샘 작품집 출간기념회 3월 31일(Wed) pm. 6

2차 : 2010년 4월 8일(Thu) - 4월 17일(Sat)

광주광역시 - 나인 갤러리 062)232-2328, www.ninegallery.co.kr

오프닝 4월 8일(Thu) pm. 6

 

현대미술가 조석진 작품집 출간

출판사 : 미술과 비평

출판일정 : 2010년 3월 말 예정

 

 

Sam Cho_Face04_명품 아줌마_60cm x 60cm_C Print

 

 

 

Sam Cho_Face05_메뚜기_60cm x 60cm_C Print

 

 

 

Sam Cho_Face06_럭셔리 원숭이_60cm x 60cm_C Print

 

 

 

Sam Cho_Face07_랩가수_60cm x 60cm_C Print

 

 

 

Sam Cho_Face08_거짓말쟁이_60cm x 60cm_C Print

 

 

 

 Sam Cho_Face09_개그작가_60cm x 60cm_C Print

 

 

 

 Sam Cho_Face10_Gang_60cm x 60cm_C Print

 

 

 

 Sam Cho_Face11_Only Jesus_260cm x 180cm_C Print

 

 

 

Sam Cho_Face_독도수호 이순신장군_80cm x 180cm_C Print

 

 

 

 Sam Cho_Face_루이비통_80cm x 180cm_C Print

 

 

 

 Sam Cho_Face12_자유의 여신_80cm x 180cm_C Print

 

 

 

Artist Profile

조 샘 (Sam Cho)

학 력

한남대학교 미술교육과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졸업

 

전 시

2010 제10회 'The Face' 갤러리 통큰 및 나인 갤러리 기획 초대전

1997~2005 개인전 9회 (한국)

2008 Open Studios (NARS Foundation Open Studios, 뉴욕)

2009 'Hope' 전 (Church Gallery-New York)

KACAL 10주년 기념전 (Korean Cultural Service Gallery-뉴욕)

1997~2009 ‘Winter 0708’ – 24인 작가전(뉴욕) 외 그룹전 100여회

 

수 상

1997~2005 대한민국미술대전 2회 입선

구상전 2회특선 및 2회 입선

2003 올해의 환경미술 조형작가상 등 외 다수

 

활 동

예원예술대학교 겸임교수 및 공주대학교 강사 역임.

장애인 청소년 미술공모전 심사위원

뉴욕 한인 청소년 미술공모전 심사위원

 

현 재

뉴욕 김포화백 스튜디오 조교, ‘미술과비평’ 뉴욕 특파원 및 작품 활동 중..

Address : 41-53 68th ST # 1B WOODSIDE N.Y 11377 U.S.A

Website : www.artistsamcho.com

Tel : 1-347-258-0934

 

SAM CHO

2003 MFA Hong-ik Schoolof Arts, Seoul, Korea

1999 BFA Art Education School of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Solo Exhibitions

2010 ‘The Face', Exhibition invited by Gallery TongKeun & Nine Gallery (Seoul, Korea)

2008 NARS Foundation open studio (NewYork-U.S.A)

2005 Gallery ToPo House (Seoul, Korea)

2004 Exhibition for Korea Environment Art EXPO (COEX-Seoul, Korea)

2003 Exhibition invited by Green-Space Gallery (Seoul, Korea)

2002 Song-Pa Art Museum (Seoul, Korea)

2001 Exhibition invited by Art Planet Gallery (Seoul, Korea)

2000 Mining village Art Museum (KangWon, Korea)

1999 Kang-Nam Art museum (Seoul, Korea)

 

Group Exhibitions

2010 'Yes, We are Connected, Space World Gallery

2009 The International Art Exchange Exhibition, Incheon Culture & Arts Center.

And 100times more

Award

Selected 2times, Korea National Art Competition and 10times more

Currently

Working in New Your. Assistant for artist Mr. Po Kim

 

Address : 41-53 68th ST #1B WOODSIDE N.Y 11377 U.S.A

Website : www.artistsamcho.com

Tel : 1-347-258-0934

---------------------------------------------------

Wanning

방문미술 그림샘에서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의 무단도용을 금합니다.

 

아이부터 어른까지 온가족이 함께하는 찾아가는 미술교육

 

 방문미술 에서는

전국의 지사장님과 미술교사님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회원가입 및 지사가맹, 교사지원 문의상담

 1시간 무료테스트 수업신청

 

전국대표번호 : 1644-5672 

홈페이지 : www.grimsam.com

E-mail : cajme77@hanmail.net

다음카페 : http://cafe.daum.net/grimmarket

다음블로그 : http://blog.daum.net/jincajme

네이버카페 : http://cafe.naver.com/grimsam.cafe

네이버블로그 : http://blog.naver.com/31910z

 

ART GROUP S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