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짙푸른 잔디밭에서 한 남자가 골프채를 들고, 유유히 걸어가고 있다. 호수까지 있는 호화골프장에서 그는 물에 뜨는 특수 골프공을 쓰면서 샷을 날린다. 바로 대통령의 형이다. ☞ 기사 바로가기 2. 얼굴에 주름이 가득한 촌로는 농사일을 쉴 수가 없다. 한평당 만오천원에서 이만원 받는 잔디농사까지 짓는다. 그가 거닐던 잔디밭은 골프를 즐기기 위한 연습장이 아니라, 그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농사를 짓는 터전이었다. 그의 손에 들려 있던 골프채는 손자가 가지고 놀던 장난감 골프채였고, 물에 뜨는 골프공은 애들 장난감용으로 만들어진 460원짜리였다. 인터뷰를 하는 그의 집은 물이 새고 있었다. ☞ 기사 바로가기 3. 김해의 지역언론인 시사영남매일도 직접 문제가 된 노건평씨의 ‘잔디밭’을 찾았다. 그리고 주간조선의 보도로 소개된 골프채와 460원짜리 물에 뜨는 ‘특수 골프공’을 직접 취재했다. 시사영남매일 이균성 기자의 기사를 일부 인용한다. “손자의 놀이용 플라스틱 골프채가 고가의 수입골프채로 둔갑되고 거기에 딸린 한개에 460원하는 골프공이 12,000원짜리로 변신하는가 하면 노 대통령의 형인 노건평씨가 농가수입을 위해 가꾸어 잔디시설 보수용으로 판매하고 있는 배추밭 딸린 100평 남짓한 잔디 기르는 밭이 개인용 골프장으로 확대, 왜곡되어 보도 된 것 등은 언론으로서는 커다란 부끄러움으로, 인척들에게는 가슴아픈 응어리로 남았다.” ☞ 기사 바로가기 4. 어느 누리꾼은 2번의 사실이 담긴 기사를 읽으며 “억울해서... 펑펑 울었다... 억울해... 억울해...”라는 멘트를 남겼다. ☞ 블로그 바로가기
▲ 노건평씨 손자의 장난감 골프채와 460원짜리 골프공, 배추밭에 딸린 잔디밭 ⓒ영남매일 제공
1번의 사실은 주간조선 이범진 기자가 취재한 내용이고, 2번의 사실은 시사저널 김회권 기자가 취재한 내용이다. 단 두 가지만 없을 뿐이다. 사실(fact), 그리고 기자로서 최소한 지켜야 할 자존심. 그래서 주간조선의 기사는 기사가 아니라 악랄한 선동 삐라가 되었다. 신문은 삐라문건을 싣는 매체가 아니라는 것쯤은 이미 초등학교 때 배웠다.
▲ 하승주 경제팀장 |
'Memento mor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수정/르포작가 - 볼리비아 코차밤바 사람들이 겪은 일 (0) | 2008.05.16 |
---|---|
최재천 - 다음 아고라광장에 무릎꿇어라 (0) | 2008.05.15 |
17년 후 - 지식채널 e (0) | 2008.05.14 |
<치질> - 미선이 (조중동에 관한 노래) - (0) | 2008.05.13 |
터놓고 얘기합시다 5월 9일 - 이선영 주부 인터뷰 다시듣기 (0) | 2008.05.12 |